361 0 0 15 33 0 7년전 0

군주론 : 마키아벨리 (세계 문학 BEST 영어 원서 12)

군주론 : 마키아벨리 (세계 문학 BEST 영어 원서 12) ------------------- <영어 원서> 제목: The Prince ('마키아벨리' 군주론) "ebook(전자책)" 다운로드 12위! '프로젝트 구텐베르크' Top 100 EBooks last 30 days 12위. ------------------- 《군주론(君主論, 이탈리아어: Il Principe 》은 이탈리아의 외교관이자 정치철학자인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저술한 16세기의 정치학 저술이다. 마키아벨리의 서한으로 보건데 De Principatibus(군주국에 관하여)라는 라틴어 제목의 한 소책자가 1513년에 이미 널리 읽히고 있었던 듯하다. 그러나 인쇄본은 마키아벨리가 죽고 5년 뒤인 1532년까지 출간되지 ..
군주론 : 마키아벨리 (세계 문학 BEST 영어 원서 12)

-------------------
<영어 원서> 제목:
The Prince ('마키아벨리' 군주론)

"ebook(전자책)" 다운로드 12위!
'프로젝트 구텐베르크' Top 100 EBooks last 30 days 12위.
-------------------

《군주론(君主論, 이탈리아어: Il Principe 》은 이탈리아의 외교관이자 정치철학자인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저술한 16세기의 정치학 저술이다. 마키아벨리의 서한으로 보건데 De Principatibus(군주국에 관하여)라는 라틴어 제목의 한 소책자가 1513년에 이미 널리 읽히고 있었던 듯하다. 그러나 인쇄본은 마키아벨리가 죽고 5년 뒤인 1532년까지 출간되지 못했다.

메디치 가의 교황 클레멘스 7세의 허락으로 출간될 수 있었는데, "그 훨씬 이전에, 사실상 필사본 군주론의 첫 등장 이래로 그의 저서에 관해 많은 논란이 일었다."

비록 군주의 거울(mirrors for princes) 형식의 고전적 저술처럼 쓰였지만, 이전과는 사뭇 다른 형식이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 단테의 신곡과 더불어 다른 르네상스 작품들의 출판 이래로 점차 통용되는 추세였던 라틴어보다는 부분적이나마 모국어인 이탈리아어로 쓰여졌기 때문이다.

군주론은 때로 근대 철학, 특히 어떠한 관념적 이상보다도 실질적인 진리를 이끌어 내는 것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는 근대 정치 철학에 관해서 선구자 격의 저서라 일컬어진다. 또한 당대에 지배적이었던 가톨릭과 더불어 스콜라주의와의 직접적인 갈등 속에서 군주론은 정치와 윤리를 바라보는 시각에 방점을 찍은 것이었다.

비교적 짧은 내용임에도 군주론은 마키아벨리의 저술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데 비아냥 거리는 의미의 '마키아벨리즘'이란 단어는 여기서 유래되었다. 또한 악마라는 의미의 영어 표현인 'Old Nick'의 유래와 관련이 있고 심지어 현대 서구에서 '정치'와 '정치가'라는 단어에 함축된 부정적인 의미 형성에 영향을 끼쳤다.

군주론의 주제에 있어서 훨씬 길고 몇 년 후에 쓰인 로마사 논고와 중복되는 부분이 있다. 정치를 위해 범행을 자행하는 인간의 사례로서 당대에 근접한 시대의 이탈리아인을 차용한, 군주론과 비교되는 마키아벨리의 다른 저술로서 카스루치오 카스트라카니 다 루카의 생애가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비도덕적 수단의 사용을 정당화 시킬 수 있는 군주의 목적에 대한 수용이 군주론의 목적이라고 흔히 알려져 왔다.
* 마키아벨리
Niccollo Machiavelli (1469 1527)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사상가, 외교가, 역사가(歷史家). 아버지는 법률가였다.

만년(晩年)에 피렌체 근교(近郊)에서 저작에 전념, 실의와 빈곤 속에서 죽었다. 그의 생애는 피렌체사(史)의 전개(展開)와 깊은 관련을 갖고 있다. 메디치가(家) 몰락 후 1498년부터 1512년까지 외교·군사에 관한 십인청(十人廳)의 사무국장이 되어 외국에도 수차 사절로서 파견되었다.

메디치가(家)의 복귀로 실각하여 은거(隱居)하였다. 그동안 명저(名著) 『군주론(君主論)』 『로마사론(史論)』 『전술론(戰術論)』 『피렌체사(史)』와 희곡 「만드라골라」 등을 저술하였다.

여우의 교지(狡智)와 사자(獅子)의 용맹을 예로 들어, 목적을 위해서는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는 마키아벨리즘은 결국은 중세적 정치방식이나 도덕률(道德律)이 권위를 잃는 과도기(過渡期)적 사상의 꽃이며, 또한 내우외환(內憂外患)으로 혼란의 극에 있었던 당시 이탈리아의 역사적 소산(所産)이었다.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