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 문학 읽기 368

기미년 3월 1일 : 함세덕 (희곡 문학작품 - 마음 토닥토닥 다스리기)

함세덕(咸世德) | 문학숲 | 4,000원 구매
0 0 402 8 0 6 2017-10-11
기미년 3월 1일 : 함세덕 (희곡 문학작품 - 마음 토닥토닥 다스리기) --------------------------------- 혼족과 혼밥이 유행하는 시대. '마음챙김'이라는 심리학 용어는 현재를 자각하는 마음의 상태로 우리 마음을 다스리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바쁜 현대인으로 살아가면서 잊고 지냈던 '감수성'을 찾아주는 한 권의 책!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희곡 문학 작품을 엄선하여 마음의 편안함을 선물합니다. ---------------------------------- <함세덕>은 당시 유명한 극작가이던 유치진에게 사사한 뒤 1936년 단막극 희곡인 〈산허구리〉를 《조선문학》에 실으면서 등단했다. 이후 《조선일보》 신춘문..

소위 대통령 (所謂 大統領) : 함세덕 (희곡 문학작품 - 마음 토닥토닥 다스리기)

함세덕(咸世德) | 문학숲 | 2,000원 구매
0 0 445 3 0 9 2017-10-11
소위 대통령 (所謂 大統領) : 함세덕 (희곡 문학작품 - 마음 토닥토닥 다스리기) --------------------------------- 혼족과 혼밥이 유행하는 시대. '마음챙김'이라는 심리학 용어는 현재를 자각하는 마음의 상태로 우리 마음을 다스리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바쁜 현대인으로 살아가면서 잊고 지냈던 '감수성'을 찾아주는 한 권의 책!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희곡 문학 작품을 엄선하여 마음의 편안함을 선물합니다. ---------------------------------- <함세덕>은 당시 유명한 극작가이던 유치진에게 사사한 뒤 1936년 단막극 희곡인 〈산허구리〉를 《조선문학》에 실으면서 등단했다. 이후 《조선일보..

산(山)사람들 : 함세덕 (희곡 문학작품 - 마음 토닥토닥 다스리기)

함세덕(咸世德) | 문학숲 | 3,000원 구매
0 0 271 6 0 8 2017-10-11
산(山)사람들 : 함세덕 (희곡 문학작품 - 마음 토닥토닥 다스리기) 제주 4·3 항쟁을 소재로 한 《산사람들》 (1949년) 山[산]에서 살고 山[산]에서 내려왔다 다시 山[산]으로 올라간다고 부락 사람들은 그들을 山[산] 사람이라고 불렀다. --------------------------------- 혼족과 혼밥이 유행하는 시대. '마음챙김'이라는 심리학 용어는 현재를 자각하는 마음의 상태로 우리 마음을 다스리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바쁜 현대인으로 살아가면서 잊고 지냈던 '감수성'을 찾아주는 한 권의 책!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희곡 문학 작품을 엄선하여 마음의 편안함을 선물합니다. -------------------..

사랑의 동명왕 ; 이광수 (한국 문학 BEST 작가 작품) - 장편소설

이광수 | 문학공감대 | 1,000원 구매
0 0 277 12 0 18 2017-07-13
사랑의 동명왕 ; 이광수 (한국 문학 BEST 작가 작품) - 장편소설 동명왕(東明王, 생몰년 미상)은 부여를 건국한 초대 왕(재위년 미상)이다. 고구려를 건국한 동명성왕, 백제의 시조로 언급되는 동명처럼, 부여 계통의 국가에서 공통되게 시조로 모시는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북쪽의 고리국(=탁리국)에서 왔다는 문헌으로 추정해 보아 북부여, 동부여의 시조일 가능성이 있다. <내용> 토막글 가섬벌칠월이면 벌써 서늘하였다. 한개울 물은 소리없이 흐르는데 뒷산 모퉁이 늙은 버들 그늘에 단둘이 손을 마주 잡고 차마 떠나지 못하는 젊은 남녀 한쌍, 그들은 활 잘 쏘 는 주몽과 얼굴 잘난 예랑이었다. 보름을 지나 약간 이지러 진 달이 솟은 것을 보니, 밤은 적지 않이..

산장 소화(山莊小話); 이무영 (한국 문학 BEST 작가 작품)

이무영 | 문학공감대 | 500원 구매
0 0 312 3 0 2 2017-05-26
산장 소화(山莊小話); 이무영 (한국 문학 BEST 작가 작품) <작품> “집도 시골집으로는 그만하면 쓰겠지만 그 집의 원주인이 참 훌륭한 부인이더구나.” 일년 가야 귀떨어진 동전 한푼 생산이 없이 곶감 꼬치 빼어먹듯 쏙쏙 빼어먹던 그들이 Y씨의 알선으로 시골로 옮아앉기로 결정하자 마침 얌전한 집이서울서도 멀지 않은 G역에 났단 말을 듣고는 그날로 집을 보러 갔던 어머니는 입에 침이 마르게 집과 집주인을 함께 추켜세웠다. 물론 탐탁하게 생각지 않으시려니 하고 은근히 걱정하던 그들은 되레 어머니 태도에 적이 놀랐다. 아무리 생각해도 서울서도 웬만한 집은 거들떠보시지도 않는 어머니에게 아무리 시골집이 묘하기로서니 어머니 눈에 찰 리가 만무했던 까닭이다.

뻐꾸기와 그애 ; 이광수 (한국 문학 BEST 작가 작품) - 어떤 처녀의 가엾은 죽음

이광수 | 문학공감대 | 500원 구매
0 0 280 3 0 7 2017-05-26
뻐꾸기와 그애 ; 이광수 (한국 문학 BEST 작가 작품) - 어떤 처녀의 가엾은 죽음 오늘 새벽 ― 새벽이라기보다는 이른 아침에 나는 홀로 묵상에 잠겨 있을 때, 참새들의 첫소리 그리고 멧새의 예쁜 소리, 다음에 비둘기가 구슬프게 우는 소리를 들었다. 어제 내린 봄비에 그렇게도 안 간다고 앙탈을 하던 추위도 가버리고 오늘 아침에는 자욱하게 낀 봄안개 하며, 감나무 가지에 조롱조롱 구슬같이 달린 물방울 하며, 겨우내 잠잠하다가 목이 터진 앞 개울물 소리 하며, 아직 철 보아서는 춥기는 춥건마는 봄맛이 난다. 갑자기 불현듯 나는 봄기운, 그것은 내 마음에 알 수 없는 어떤 슬픔을 자아낼 때에 그때에 어디선지 끊일락 이을락 들려 오는 비둘기 소리. 내 마음이 슬픈 때..

여름의 유모어 ; 이광수 (한국 문학 BEST 작가 작품)

이광수 | 문학공감대 | 500원 구매
0 0 332 3 0 11 2017-05-26
여름의 유모어 ; 이광수 (한국 문학 BEST 작가 작품) <작품> 소가 웃는다 보는 마음, 보는 각도를 따라서 같은 것이 다르게 보이는 것이다. 이것이 극치에 달하면 같은 세계를 하나는 지옥으로 보고, 다른 이는 극락으로 보고 또 다른 이는 텅빈 것으로 보는 것이다. 농촌의 여름도 그러하다. 이것을 즐겁게 보는 이도 있고 괴롭게 보는 이도 있고 또 고락이 상반으로 보는 이도 있다. 어느 것이 참이요 어느 것이 거짓이라고 할 것이 아니라 보는 사람의 마음의 태도와 그가 보는 각도에 따라서 변하는 것이다. 여름의 농촌을 유모어의 마음으로 유모어의 각도에서 보는 것도 한 보는 법일 것이다.

십삼원(拾三圓); 최서해 (한국 문학 BEST 작가 작품)

최서해 | 문학공감대 | 500원 구매
0 0 307 3 0 1 2017-05-26
십삼원(拾三圓); 최서해 (한국 문학 BEST 작가 작품) <작품> 유원이는 자려고 불을 껐다. 유리창으로 흘러드는 훤한 전등빛에 실내는 달밤 같다. 그는 옷도 벗지 않고 그냥 이불 위에 아무렇게나 누웠다. 그러나 온갖 사념에 머리가 뜨거운 그는 졸음이 오지 않았다. 이리 궁글 저리 궁글하였다. 등에는 진땀이 뿌직뿌직 돋고 속에서는 번열이 난다. 이때에 건넌방에 있는 H가 편지를 가져왔다.

충용 삼형제 ; 김동인 (한국 문학 BEST 작가 작품)

김동인 | 문학공감대 | 500원 구매
0 0 272 3 0 2 2017-05-24
충용 삼형제 ; 김동인 (한국 문학 BEST 작가 작품) <작품> 미리보기 <삼국사기(三國史記)가 신라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시대 전후에 부과(夫果) 취도(驟徒) 필실(■實) 삼형제의 충용(忠 勇) 미담을 이름함에 있어서, 그 삼형제의 근본이며 환경 등 에 관해서는 상기(上記)한 이상을 말하지 않았다. 『이애들아.』 『네…』 『가까이들─ 이 아비를 가운데 두고 둘러 앉어라.』 『……』 세 아들은 아버지의 분부대로, 아버지의 앞에 모였다. 아무 말 없이 몸의 움직임에도 소리도 안 나게 고요히… 고즈너 기… 엄숙한 기분 아래서…. 세 아들을 앞에 불러 놓고 아버지 나마(奈麻─ 벼슬 이름) 취복(驟福)은 비로소 눈을 조금 떴다. 길게 누운..

개소문과 당태종 ; 김동인 (한국 문학 BEST 작가 작품)

김동인 | 문학공감대 | 500원 구매
0 0 302 3 0 3 2017-05-24
개소문과 당태종 ; 김동인 (한국 문학 BEST 작가 작품) 개소문(蓋蘇文)과 당 태종(唐太宗) 도성 안은 평시와 조금도 다른 데가 없었다. 어제도 그제도, 작년도 재작년도 그러하였던 것과 마찬가지로, 장사아치는 가게에 앉아서 손님을 기다리고, 노인들은 한가스러이 길거리를 거닐고, 장인바치는 여전히 이마에 핏대를 세워가지고, 마치를 두르며― 솔개는 하늘을 날고 쥐는 땅을 기고…. “이럴까?” 신라(新羅) 사람 구문사(仇文司)는 자기의 예기, 또한 천하의 통례(通例)와 딴판인 이 고구려 서울(평양)의 오늘의 광경에, 의외의 얼굴을 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오늘은 당사(唐使)가 이 서울에 돌아온다. 더구나 이번의 당사는 보통 다른 때(자기네 나라인..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